본문 바로가기
정보&팁/세계

도널드 트럼프의 '상호 관세' 발표…한국은 왜 25% 관세를 맞았나?

by 가능성의 꾸꾸 2025. 4. 3.
반응형

안녕하세요 꾸꾸입니다!

 

2025년 4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향해 새로운 '관세 폭탄'을 예고했습니다. 그는 미국의 수출입 불균형을 바로잡겠다는 이유로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를 도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한국은 25%라는 높은 관세율을 부과받아 큰 충격을 주고 있는데요. 오늘은 이 사건의 전말과 그 파급효과를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상호 관세란 무엇인가요?

트럼프가 말하는 상호 관세란, 미국이 다른 국가로부터 받는 만큼의 관세를 '동등하게' 매기겠다는 정책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나라가 미국 제품에 20%의 관세를 매긴다면, 미국도 그 나라 제품에 똑같이 20%를 부과하겠다는 의미죠.

“우리는 이제 공정하고 상호적인 무역을 할 것이다. 미국에서 생산하면 관세는 0%다.”
– 도널드 트럼프 (2025년 4월 2일, 백악관 로즈가든)


관세 발표 주요 내용 정리

트럼프 전 대통령은 4월 2일(현지 시각),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날짜 내용
4월 5일부터 전 세계 대상 10% 기본 관세 부과 시작
4월 9일부터 60개국 대상 개별 관세율 추가 적용
관세 예외 품목 자동차, 철강, 알루미늄, 구리, 목재 등 (이미 기존 관세 있음)

이번 조치는 트럼프 정부 시절 **USTR(미국 무역대표부)**와 상무부가 각국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평가한 결과를 토대로 결정된 것입니다.


국가별 상호 관세율은?

미국은 60개국에 대해 각기 다른 관세율을 책정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무역흑자 규모가 더 큰 일본이나 EU보다 더 높은 관세율을 부과받았습니다.

국가 상호 관세율
베트남 46%
중국 34%
대만 32%
인도 26%
한국 25%
일본 24%
유럽연합(EU) 20%

한국은 미국에 대한 무역흑자 규모가 큰 국가 중 하나로, 이에 따라 높은 관세율을 적용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에 미치는 영향은?

한국은 수출 중심의 경제 체제를 가지고 있어, 이번 미국의 관세 정책은 매우 민감한 사안입니다.

  • 2024년 한국의 대미 수출: 1,278억 달러 (전년 대비 10.4% 증가)
  • 2024년 대미 무역흑자: 557억 달러 (역대 최고치)

이처럼 미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25%의 관세는 큰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 전자제품, 철강 등 주요 수출 품목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글로벌 통상 질서의 변화

트럼프의 이 같은 발표 이후, 중국, 유럽연합(EU), 캐나다 등 주요국들은 즉각 반발하며 보복 조치를 예고했습니다. 이는 미국이 주도하던 자유무역 체제에 큰 균열을 가져올 수 있는 신호탄이기도 합니다.

“이번 조치는 국제 통상 질서를 뒤흔드는 결정이다.”
– 유럽연합 무역 집행위원회 관계자


현대차의 대미 투자도 언급

트럼프는 관세를 정당화하며, 외국 기업들이 미국에 공장을 세우는 사례를 강조했습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현대자동차입니다.

  • 현대차 대미 투자 규모: 210억 달러 (약 31조 원)
  • 투자 목적: 미국 내 생산 확대 및 현지 고용 창출

트럼프는 “미국에서 생산하면 관세는 0%”라고 말하며, 외국 기업들의 미국 진출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마무리: 앞으로의 대응은?

이번 상호 관세 발표는 단순한 보호무역 조치 이상의 정치적, 경제적 신호를 담고 있습니다. 미국 내 생산 유도, 무역수지 개선, 대선 전략까지 겹쳐 있는 셈입니다.

한국 정부와 기업들은 이러한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하며, 특히 미국 내 생산 확대나 수출 다변화 같은 중장기적 대응이 요구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