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팁/세계

미얀마에서 진도 7.7 강진 발생! 태국 방콕까지 영향 미쳐 고층 빌딩 붕괴 사고 발생

by 가능성의 꾸꾸 2025. 3. 28.
반응형

안녕하세요 꾸꾸입니다!

2025년 3월 28일(현지시간), 미얀마 중부 내륙에서 진도 7.7의 매우 강력한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이번 지진은 미얀마를 넘어 태국 방콕과 중국 윈난성에서도 감지될 정도로 그 위력이 대단했습니다. 특히 태국의 수도 방콕에서는 건설 중이던 고층 빌딩이 붕괴하며 수십 명의 인부가 매몰되는 사고가 발생했는데요. 오늘은 이 안타까운 사고와 미얀마 지진 발생 상황을 자세히 전해드리겠습니다.


미얀마 지진, 도대체 얼마나 강력했나?

이번에 미얀마 중부 내륙에서 발생한 지진은 진도 7.7로, 일반적으로 피해가 심각하다고 평가되는 규모 7.0 이상에 해당합니다. 참고로 지진의 규모에 따라 피해 정도를 구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지진 규모 피해 예상 수준
5.0 미만 대부분 진동만 감지, 피해 적음
5.0 ~ 5.9 일부 취약 건축물에 균열 등 피해 발생 가능
6.0 ~ 6.9 강력한 진동으로 건물 손상 및 일부 붕괴 가능
7.0 이상 대규모 피해 예상, 건물 붕괴 및 인명 피해 심각

이번 미얀마 지진의 규모는 7.7이었으니, 현장에서 느낀 공포와 피해 규모는 상상 이상이었을 겁니다.


태국 방콕 고층 빌딩 붕괴 참사

미얀마에서 발생한 이번 지진의 여파로 인접국인 태국 방콕에도 큰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특히 방콕 중심지에서 건설 중이던 고층 빌딩이 무너져 내리는 사고가 발생했는데요, 최소 43명의 노동자들이 매몰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글로벌 SNS 플랫폼인 엑스(X) 등에는 당시 현장의 긴박한 영상들이 퍼지고 있습니다. 영상 속에서는 지진으로 땅이 흔들리기 시작한 순간부터 건물이 거대한 먼지와 함께 붕괴하는 모습이 생생히 담겨있습니다. 현재까지 정확한 진위는 공식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양한 각도의 영상들이 빠르게 공유되며 사고의 심각성을 알리고 있습니다.

"갑자기 건물이 흔들리며 사람들이 비명을 지르기 시작했어요. 모두 공포에 질려 멀리 공원으로 달아났죠."

— 방콕 쇼핑몰 방문 중이던 스코틀랜드 출신 관광객, 프레이저 모턴

이처럼 현장에 있던 목격자들은 갑작스럽게 시작된 진동에 공포감을 느끼고 즉각적으로 야외로 대피했던 긴박한 순간을 전했습니다.


지진 발생 위치와 주변 국가 피해 상황

미국 지질조사국(USGS)과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에 따르면, 지진의 발생 위치는 미얀마 제2의 도시인 만달레이에서 남서쪽으로 33km, 수도 네피도에서 북북서쪽으로 248km 떨어진 지역입니다.

지역 거리 특징
만달레이 남서쪽 33km 미얀마 제2의 도시
네피도(수도) 북북서쪽 248km 미얀마의 수도
방콕(태국) 약 700km 이상 고층 빌딩 붕괴 피해
중국 윈난성 약 400km 이상 진동 감지

지진 진앙지 주변뿐 아니라 상당히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도 진동이 감지될 정도로 이번 지진의 규모는 매우 컸으며, 그만큼 인접국들의 피해도 심각합니다.


여진 발생과 추가 피해 우려

대규모 지진 이후에 발생하는 여진은 주 지진보다 약하지만 추가적인 피해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현재 태국 재난본부는 여진 발생 가능성을 높게 보고 시민들에게 건물로 진입하지 말고 야외에서 안전을 유지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시민들은 여진과 추가 피해의 위험 때문에 건물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거리나 공원 등 개방된 장소에서 초조하게 기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진 발생 시 대피 요령과 행동 지침

지진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간략히 정리했습니다.

  • 실내에 있을 때는 즉시 책상 아래나 튼튼한 가구 아래로 대피
  • 실외에서는 건물, 전봇대, 나무 등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개방된 장소로 이동
  • 지진이 멈추면 가스와 전기 등을 차단하고 즉시 야외로 이동
  • 이후 당국의 안내를 기다리고 여진을 대비하여 야외에서 안전 유지

피해 최소화와 빠른 복구를 기원하며

이번 미얀마에서 시작된 강력한 지진과 태국 방콕에서의 참사로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입었습니다. 현재까지 수십 명의 노동자가 매몰된 안타까운 상황인데요. 무엇보다 더 이상의 추가 피해 없이 조속히 구조작업이 완료되고, 피해 복구가 빠르게 진행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