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팁/현대사회의 일상

트럼프 상호관세 행정명령에 뉴욕증시 ‘급락’…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by 가능성의 꾸꾸 2025. 4. 4.
반응형

안녕하세요 꾸꾸입니다!

 

최근 미국 증시가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전 세계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바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있습니다. 그가 전 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기본 10% 관세를 부과하는 상호관세 행정명령에 서명했기 때문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번 사태의 배경시장 반응, 그리고 앞으로의 시사점까지 쉽게 풀어드리겠습니다.


어떤 일이 있었나? – 증시 전반 요약

2025년 4월 3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조치 발표 이후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지수명 종가 전일 대비 변동 하락률
다우존스30 40,545.93 -1,679.39p -3.98%
S&P500 5,396.52 -274.45p -4.84%
나스닥 종합 16,550.61 -1,050.44p -5.97%

이 정도 하락폭은 2020년 팬데믹 초기 이후 가장 큰 낙폭 중 하나로 기록될 수 있는 수준입니다.


트럼프의 ‘상호관세 행정명령’이란?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번에 모든 국가에 10%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무역 적자국에는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미국은 그동안 공정하지 못한 무역에서 손해를 봤다. 우리도 똑같이 대응할 것이다.”
— 도널드 트럼프, 행정명령 서명 후 발언

즉, 미국이 다른 나라로부터 수입을 많이 하여 적자가 나는 경우, 그 나라에 대해 보복성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이는 국제무역에서 일종의 무역 장벽을 높이는 조치로, 미국 내 산업 보호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글로벌 공급망에는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주요 기업들, 주가 줄줄이 급락

이번 충격은 특히 소비재와 기술주에 크게 나타났습니다. 대표적인 기업들의 주가 변동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기업명 산업군 주가 하락률
나이키 의류/소비재 -14.44%
파이브빌로(Five Below) 유통 -27.81%
갭(Gap) 의류 -20.29%
애플 기술/IT -9.25%
엔비디아 반도체 -7.81%

의류, 할인 유통체인, 전자제품 등 수입에 의존하는 산업일수록 타격이 컸습니다. 특히 파이브빌로처럼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하는 업체는 관세 상승에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공포지수' VIX, 30선 돌파

이번 사태로 투자자들의 불안심리가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변동성지수(VIX)도 급등했습니다.
VIX 지수는 30.2를 기록, 이는 2023년 8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VIX 지수는 투자자들의 공포심리를 반영하는 지표로, 30을 넘으면 시장이 매우 불안정하다고 판단합니다."
— CNBC Market Watch 해설

즉, 시장은 현재 ‘위기 모드’로 전환된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안전자산으로 쏠리는 자금 – 채권금리 하락

이러한 시장 불안은 채권 시장에도 즉각 반영됐습니다.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전일 대비 13bp(0.13%) 급락하여 4.05% 수준으로 하락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위험자산(주식)에서 벗어나 안전자산인 국채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왜 이렇게 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했을까?

트럼프의 이번 조치는 단순히 관세 부과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이는 글로벌 공급망의 붕괴 가능성, 국제 무역 긴장의 격화, 그리고 세계 경기 침체 우려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 공급망 단절: 의류, 반도체, 전자부품 등 수입 비중이 높은 업종은 타격이 큼
  • 보복 관세 가능성: 다른 나라들이 미국에 맞대응할 경우, 전 세계 무역전쟁 가능성
  • 소비 위축: 소비재 가격 상승 → 구매력 저하 → 기업 실적 감소

앞으로의 관전 포인트는?

  1. 다른 국가의 대응: 특히 중국, 유럽연합(EU), 일본 등의 반응이 중요
  2. 미국 내부 반발: 미국 소비자 가격 상승에 대한 정치권 및 산업계 반발 가능성
  3. 연준(Fed)의 대응: 증시 하락과 채권 수익률 급락이 금리 정책에 어떤 영향을 줄지

정리하며

트럼프 전 대통령의 이번 ‘상호관세 행정명령’은 글로벌 무역 질서에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미국 내 산업을 보호하려는 의도는 분명하지만, 그로 인한 글로벌 불확실성은 더 커진 상황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당분간 높은 변동성에 대비하면서, 리스크 관리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반응형